HOME
고객센터
공지사항
장마 발생 원인 | |||
글쓴이 | 관리자등록일 | 2025.06.21조회 | 24 |
|||
첨부파일 | |
|||
국어사전에 - 장마는 "여름철에 여러 날을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현상이나 날씨. 또는 그 비"로 정의한다. 장마 발생 원인 1. 기단의 충돌 - 여름 초반, 북쪽의 시베리아 고기압(찬공기)과 남쪽의 북태평양 고기압(덥고 습한 공기)이 충돌하는데, 이 둘이 맞닿는 곳에 정체전선(장마전선)이 형성된다. 2. 정체전선의 위치 고정 - 이 전선이 남북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고 며칠~ 몇 주간 한 지역에 머물면서 지속적인 강수가 발생한다. - 한국은 보통 6월 하순 ~ 7월 중순 사이에 이 장마전선의 영향권에 들어간다. 3. 따뜻한 수증기의 유입 - 북태평양 고기압에서 밀려오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전선 부근에서 강하게 상승하면서 구름이 발달하고 비를 내리게 한다. 장마의 특징 1. 하루 종일 비가 오는 경우보다 간헐적으로 강하게 오는 폭우가 많다. 2. 국지성 집중 호우가 나타나 침수나 산사태 위험이 커지고, 3. 전선이 북상, 남하하며 장마가 시작되고 끝난다. ![]() |